본문 바로가기

세계 경제

왜 현 자본주의는 파산할수 밖에 없는가.


자본주의라 함은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자본이 지배하는 경제체제라 볼 수 있다. 우리는 오랜기간 자본주의 틀 안에서 살아왔지만 자본주의가 뭔지 제대로 알고 있을까? 자본주의는 시대에 따라서 막대한 이윤과 호황을 누리지만 시스템적 모순 때문에 주기적인 위기를 맞이한다. 자본주의는 무엇일까? 이러한 점을 서술하기위해 오늘은 경제 공부시간을 가져볼까 한다.

A라는 은행이 있다. 이 은행이 발행한 돈은 딱 10,000원이라고 가정해보자. B라는 낚시꾼은 도구를 사기위해 A은행에서 10,000원을 연이율 5%로 빌리기로 했다. 그렇다면 내년에 농부가 은행에 지불해야 할 금액은 10,500원인데 500원을 어디서 구해야 할까? 당연히 시중에는 10,000원 밖에 없으니 10,500원을 1년뒤에 갚는다는 건 불가능하다. 지불해야 할 돈이 시중에 존재하는 돈보다 많기 때문이다. 즉 한번 빚을 지게 되면 선발주자는 빠져나올 수 있지만 빠져나오지 못한 후발주자는 빚을 갚을수가 없게 된다. 반대로 은행은 돈이 돈을 버는 순환구조로 바뀌면서 빚을 갚지못한 인격체를 구속하게 된다. 이러한 인격체들은 매우 천천히 증가하게 되면서 그들의 자산을 천천히 잠식해나간다. 이자가 복리로 늘어난다면 상황은 더 심각해진다. 결국엔 은행이 시장의 모든 자산을 소유하게 되면서 자본주의는 막을 내리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여 1800년도 당시 로스차일드 가문은 큰 부를 얻게 된 것이다.


이것이 끝이라고 본다면 매우 큰 오산이다. 현 자본주의 은행들은 지급준비제도라는것이 있다. 지급준비율을 10%로 가정하면 은행이 100억을 현금으로 보유하고 있을시 1000억 이상으로 빌려줄 수 있는 제도인데 시장의 총 자산을 더욱 빠른 속도로 잠식해나가게 되는 결과를 야기한다. 즉 100억으로 3%의 이자만 받아도 빌려준 액수는 1000억이기 때문에 30%의 수익이 나온다는 것이다. 없는 돈을 어떻게 빌려주냐고? 아주 단순하다. 미국의 경우 그냥 컴퓨터에 타자 몇번 쳐서 없는 돈을 생산하는 것이다. 이렇게 디지털화 된 화폐는 합법적으로 달러로 바꾸게 되면서 가상의 돈을 다시 한번 뻥튀기 시킨다. 마치 백화점에서 상품권을 대량으로 생산하여 현금이랑 바꾸는 것과 마찬가지다. 하지만 명심하라. 화폐를 보증하던 금의 양은 그대로였지만 화폐는 계속 기하급수적으로 뻥튀기 되고 있으니 말이다.


이런 단순화된 모델을 통해 자본주의가 가지고 있는 맹점을 알 수가 있다. 자본주의는 누군가 항상 파산해야만 돌아가는 메커니즘이다. 파산의 속도는 은행의 대출량에 비례하여 늘어나게 되고 점점 은행이 많은 부를 소유하게 되면서 은행을 제외한 대중에게 돌아가는 부의 양은 적어진다. 여기서 은행은 시스템적붕괴가 일어나는걸 막기 위해 돈을 발행하기 때문에 신용화폐라는 것은 항상 인플레이션을 겪어야 하는 존재인 것이다. 명심하라, 항상 은행은 우리가 갚아야 하는 빚 이상의 돈을 만들어 내야만 한다. 즉 이론적으로 볼 때 화폐의 가치는 최종적으로 무제한 하락하여 0에 수렴하게 되고 지폐를 보증하던 금의 가치는 유지가 되어 각 지폐의 가치는 [지폐를 보증하는 금 / 지폐의 총량]이 된다.

이는 점점 가속화 되면서 결국 한 국가는 하이퍼 인플레이션에 도달한다. 빚 위에 빚으로 성장한 문명은 암흑기로 접어드는 것이다. 이 시기에는 화폐가 종이화 될수록 사람들은 안전자산을 선호하게 되면서 금의 가치가 급상승 한다. 한 나라가 초창기에 만원을 발행 했다고 가정할 때, 화폐의 값어치는 만 원어치 금이었지만, 100만 원이 생산되고 1,000만 원이 생산되고 1000억 원이 생산된다면 금의 가치와 반비례 관계로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미국의 현 상황은 어떨까?  


이 그래프는 미국 부채비율이 과거부터 현재까지 어떤 모양으로 증가했는지 모여준다. 그냥 대충 봐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음을 보여준다. 살짝 틀린 데 지금은 더 늘어났을것이다. 자본주의는 빚으로 먹고산다고 했다. 현재의 시스템이 지탱되려면 지금보다 더 많은 양의 돈을 뽑아야만 시스템이 유지 된다. 그래야만 화폐의 값어치가 하락하고 금의 기준으로 빚의 실제 가치는 하락하면서 국가의 신용도를 유지하고 신용화폐의 가치를 좀 더 오래 연장하는 것이다. 즉 양적완화가 끝없이 진행되야만 하는 시스템적 모순을 가지고 있는 것이 자본주의다.